여러분이 잘 알고있는 이야기입니다. 한 젊은이가 자기 몫의 아버지 유산을 챙겨서 방탕한 생활로 탕진 해버렸습니다. 그는 빈털터리가 되고 건강도 정신도 쇠약해졌습니다. 가장 비참했던 어느 순간 그는 자신의 아버지에게로 돌아가기로 결심했습니다. 성경은 말씀합니다.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눅15:20).
이 아버지가 아들을 용서하는데 아무런 장애물이 없었다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이 아들이 해야 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의 죄를 고백하는 일 조차 필요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아버지가 화해하기 위해 이미 모든 것을 예비해 놓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진정으로 모든 것이 아버지의 주도하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는 아들이 길을 걸어오는 것을 보자마자 달려가 안았습니다. 사실 사랑하는 아버지에게 용서는 전혀 문제 될 것이 없습니다. 우리 하늘 아버지가 회개하는 자녀를 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므로 이 비유에서 용서는 이슈가 아닙니다. 예수님은 이 탕자가 단순히 용서받는 것으로 충분치 않다고 명백하게 밝히셨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을 단지 용서하고 그의 길로 가도록 내버려 두려고 품에 안은 것이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의 회복 그 이상의 것을 바라고 있었습니다. 자신의 자녀와 함께 있고, 그의 존재, 교제를 원하였습니다.
탕자는 용서를 받고 다시 한 번 은혜를 입었으나 아직 자신의 아버지 집에 정착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아들이 그 집에 정착을 해야 아버지가 만족할 것이요 또 그 아들이 아버지와 함께 있게 될 때에만 아버지의 기쁨이 충만할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 비유의 이슈입니다.
이쯤에서 이야기가 아주 재미있어집니다. 아들은 명백히 자기 아버지의 용서에 대해 편치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버지의 집으로 들어가기를 주저했습니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말했습니다. 요점은, “제가 했던 그 모든 더럽고 불경한 일들을 모르고 계십니다. 저는 하나님과 아버지의 사랑과 은혜에 거스르는 죄를 지었습니다. 아버지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 저는 쫓겨나야 마땅합니다.”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대답을 주목해 보십시오. 그에게서 책망하는 말은 한 마디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탕자가 행했던 일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고, 반항한 일이나, 그의 어리석음, 방탕한 생활, 영적으로 파산 지경에 이른 일 등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사실 그 아버지는 자기 아들이 자격이 없으므로 집밖에 머무르고자 했던 시도들을 인정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그 시도들을 무시해버렸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아버지의 관점에서 옛 아들은 죽었습니다. 그 아들은 아버지의 생각에서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지금, 아버지의 눈에 집으로 돌아온 이 아들은 새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과거는 결코 다시 화제에 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아버지는 이렇게 말씀 하십니다. “내게 관한 한, 옛날의 너는 죽었다. 자, 새로운 사람으로 나와 함께 행하라. 더 이상 죄의식에 사로잡혀 살 필요가 없다. 죄의 문제는 모두 해결되었다. 이제 내 앞에 담대하게 나와서 나의 자비와 은총에 참여하여라.”
You know the story. A young man took his portion of his father’s inheritance and squandered it on riotous living. He ended up broken, ruined in health and spirit, and at his lowest point he decided to return to his father. Scripture tells us, “He arose, and came to his father. But when he was yet a great way off, his father saw him, and had compassion, and ran, and fell on his neck, and kissed him” (Luke 15:20).
Note that nothing hindered this father’s forgiveness of the young man. There was nothing this boy had to do—not even confess his sins—because the father had already made provision for reconciliation. Indeed, it happened all by the father’s initiative; he ran to his son and embraced him as soon as he saw the boy coming up the road. The truth is, forgiveness is never a problem for any loving father. Likewise, it’s never a problem with our heavenly Father when he sees a repentant child.
So forgiveness simply is not the issue in this parable. In fact, Jesus makes it clear that it wasn’t enough for this prodigal merely to be forgiven. The father didn’t embrace his son just to forgive him and let him go his way. No, that father yearned for more than just his son’s restoration. He wanted his child’s company, his presence, communion.
Even though the prodigal was forgiven and in favor once more, he still wasn’t settled in his father’s house. only then would the father be satisfied, his joy fulfilled when his son was brought into his company. That is the issue in this parable.
Here the story gets very interesting. The son clearly was not at ease with his father’s forgiveness. That’s why he hesitated to enter his father’s house. He told him, in essence, “If you only knew what I’ve done, all the filthy, ungodly things. I’ve sinned against God and against your love and grace. I just don’t deserve your love. You have every right to cut me off.”
Note how the father responds to his son. He utters not a single word of reproof. There is no reference to what the prodigal had done, no mention of his rebellion, his foolishness, his profligate living, his spiritual bankruptcy. In fact, the father didn’t even acknowledge his son’s attempts to stay outside, unworthy. He ignored them! Why?
In the father’s eyes, the old boy was dead. That son was out of his thoughts completely. Now, in the father’s eyes, this son who had returned home was a new man. And his past would never be brought up again. The father was saying, “As far as I’m concerned, the old you is dead. Now, walk with me as a new man. No need for you to live under guilt. The sin problem is settled. Now, come boldly into my presence and partake of my mercy and grace.”
你都晓得这故事。有一个年青人生活放浪不羁,把父亲给他那些家产都耗尽了。於是,他在身体灵魂方面都变得破败不堪。在在他最低潮的时候,他定意要回到父亲身边去。圣经说:「(他)於是起来往他父亲那里去。相离还远,他父亲看见,就动了慈心,跑去抱著他的颈项,连连与他亲嘴。」(路15:20)
请注意,没有什麽能拦阻父亲饶恕这年青人。这年青人什麽也不必做 – 甚至不必认罪 – 因为父亲已经準备要与他和好。的确,一切都是出於父亲的主动;他一旦看见儿子沿路回来,便跑过去拥抱他。真理就是,对於任何慈爱的父亲,饶恕绝不是个问题。同样,当天父看见一个心中痛悔的儿女,赦免也绝不是个问题。
所以在这比喻里,饶恕简直不是个问题。其实,主清楚说明,这浪子仅仅得蒙饶恕是不够的。父亲并没有拥抱儿子,而只是要饶恕他,让他我行我素。不,这父亲不仅渴望儿子得复兴。他更希望能够与儿子在一起,彼此相交。
纵然浪子被饶恕,再次得宠,他还是没有在父亲家里住下来。惟当儿子回到他身边,这父亲才会心满意足。这正是这比喻的中心问题。
这里的故事变得非常有趣。这儿子显然并没有因父亲的饶恕而感到很自在。因此,当他要进到父亲家里的时候,他就踌躇不定。他实在对父亲说:「你要是晓得我的所作所为,那一切污秽,不敬虔的事。我得罪了 神,辜负了你的爱和恩典。我就是不配得你的爱。你大有权利,可以与我断绝关係。」
请注意,父亲如何对儿子作出反应。责备的话,他一句也不说。有关浪子的行为、他的悖逆,他的愚昧、放浪不羁的生活、以及他灵里的崩溃,他只字不提。其实,父亲甚至没有承认儿子在外到处留连,不配不堪。这些他都一概不理!为什麽?
在父亲眼中,从前的儿子已经死了。他已经把那儿子抛诸脑後。如今,在父亲看来,这回家的儿子已经是一个新人。他绝不会旧事重提。父亲实在说:「对我来说,从前的你已经死去。如今,像一个新人一般与我同行吧。你不必活在罪咎之下。罪的问题已经解决了。现在,你要坦然无惧地来到我面前,分享我的怜悯和恩典。」
'묵상 > 데이빗 윌커슨(David Wilker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전에 부르셨다 (CALLED FROM BEFORE CREATION) (0) | 2010.04.23 |
---|---|
동일한 믿음 (THE SAME FAITH) (0) | 2010.04.22 |
해방된 삶 (THE LIBERATED LIFE) (0) | 2010.04.20 |
포기 직전인 이에게 드리는 각별한 말씀 (0) | 2010.04.19 |
믿음에 대한 진리(THE TRUTH ABOUT FAITH) (0) | 201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