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끝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이르시되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요한복음 7:31)
인내가 주 예수님 안에서 그 목적을 온전히 이루었습니다. 주님은 명절 끝날까지 유대인들에게 그에게 오라고 간청하셨습니다. 그 주님께서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오늘도 은혜를 베푸시고자 우리에게 오라고 간청하십니다. 우리가 그처럼 그의 성령을 거역하고 반항하며 근심시켜 드리는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우리를 참고 기다리시는 주님, 주님의 참을성은 정말 대단합니다. 사실 우리가 아직도 자비의 땅에 있다는 것은 기적 중의 기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 본문 속에는 불쌍히 여기시는 주님의 마음이 분명히 표현되어 있습니다. 본문 말씀을 보십시오. 예수님께서 외치셨다고 했는데 그것은 그의 목소리가 컸다는 사실을 암시할 뿐 아니라 그 음성이 부드럽고 다정했음도 의미합니다. 그는 우리에게 하나님과 화목하라고 간청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로 너희를 권면하시는 것같이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간구하노니”(고후 5:20)라고 사도는 말하고 있습니다. 얼마나 진실되고 감동적인 말입니까! 죄인들을 위해 우시는 주님의 그 깊은 사랑이 마치 어머니처럼 자기 백성들을 품에 안으려고 애쓰십니다! 이렇게 외치는 소리를 듣고 우리는 분명 자원하는 심령으로 주께 돌아올 것입니다. 모든 것이 다 풍성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인간이 자기 영혼의 갈증을 푸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다 제공되어 있습니다. 그의 대속으로 우리의 양심은 평강을 얻습니다. 그의 복음으로 우리의 명철은 가장 훌륭한 교훈을 받습니다. 그의 인격은 우리 마음이 사랑할 수 있는 가장 고상한 사랑의 대상입니다. 예수님 안에 있는 진리 그 자체에서 우리 전인이 가장 순전한 양분을 공급받습니다. 심한 갈증을 느끼지만 예수님이 그 갈증을 풀어 주실 수 있습니다. 우리 영혼이 완전히 굶주려 있지만 예수님이 그것을 회복시켜 주십니다.
이것은 값없이 주어지는 것이라고 선언되어 있습니다. 즉 목마른 자는 누구나 다 환영입니다. 목마른 자라는 것 외에는 다른 어떤 구분도 없습니다. 그것이 탐욕에 대한 갈증이든, 야망에 대한 갈증이든, 쾌락에 대한 갈증이든, 지식에 대한 갈증이든, 휴식하고 싶은 갈증이든, 아무튼 목말라 괴로워하고 있는 사람은 다 오라고 되어 있습니다. 목마름 자체는 악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은혜의 징표가 아니라 오히려 더 깊은 정욕으로 충족되기 바라는 극단적인 죄의 표시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그 사람 안에 있는 어떤 선함을 보시고 이런 초대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사람이든 상관없이 값없이 초대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누구에게 오라고 분명히 선언되어 있습니다. 죄인은 반드시 예수님께 와야 합니다. 어떤 일이나 규례나 교리가 아니라 그 자신의 몸으로 나무에 매달려 우리 죄를 담당하신 구주께 와야 합니다. 피 흘리고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신 구세주, 오직 그분만이 죄인의 유일한 소망의 별입니다. 오 주여, 올해의 마지막 날인 이 날이 다하기 전에 어서 가서 그 샘을 마실 수 있는 은혜를 허락해 주소서!
오늘 말씀에 보면 기다리라거나 무엇을 준비하라는 암시가 전혀 없습니다. 마시라는 것은 그냥 와서 제공하는 것을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어리석은 사람이나 강도나 매춘부도 다 와서 마실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의 죄성은 예수님을 믿으라는 이 초청에 전혀 지장이 되지 않습니다. 목마른 자에게 물을 줄 때는 금잔이나 보석으로 장식된 술잔이 필요없습니다. 목마른 사람은 자기 몸을 굽혀 입으로 흐르는 물을 벌컥벌컥 마십니다. 부르트고 문들어지고 오염된 입을 가진 사람도 하나님의 사랑에서 흘러나오는 이 강물을 마실 수 있습니다. 그들은 절대 이 강물을 오염시킬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 물로 정결케 될 것입니다. 예수님은 소망의 샘입니다. 사랑하는 독자 여러분, 구세주의 사랑에 찬 음성을 들으십시오. 주님께서 우리 각자에게 이렇게 외치고 계십니다.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In the last day, that great day of the feast, Jesus stood and cried, saying, if any man thirst, let him come unto Me and drink." --John 7:37
Patience had her perfect work in the Lord Jesus, and until the last day of the feast He pleaded with the Jews, even as on this last day of the year He pleads with us, and waits to be gracious to us. Admirable indeed is the longsuffering of the Saviour in bearing with some of us year after year, notwithstanding our provocations, rebellions, and resistance of His Holy Spirit. Wonder of wonders that we are still in the land of mercy!
Pity expressed herself most plainly, for Jesus cried, which implies not only the loudness of His voice, but the tenderness of His tones. He entreats us to be reconciled. "We pray you," says the Apostle, "as though God did beseech you by us." What earnest, pathetic terms are these! How deep must be the love which makes the Lord weep over sinners, and like a mother woo His children to His bosom! Surely at the call of such a cry our willing hearts will come.
Provision is made most plenteously; all is provided that man can need to quench his soul's thirst. To his conscience the atonement brings peace; to his understanding the gospel brings the richest instruction; to his heart the person of Jesus is the noblest object of affection; to the whole man the truth as it is in Jesus supplies the purest nutriment. Thirst is terrible, but Jesus can remove it. Though the soul were utterly famished, Jesus could restore it.
Proclamation is made most freely, that every thirsty one is welcome. No other distinction is made but that of thirst. Whether it be the thirst of avarice, ambition, pleasure, knowledge, or rest, he who suffers from it is invited. The thirst may be bad in itself, and be no sign of grace, but rather a mark of inordinate sin longing to be gratified with deeper draughts of lust; but it is not goodness in the creature which brings him the invitation, the Lord Jesus sends it freely, and without respect of persons.
Personality is declared most fully. The sinner must come to Jesus, not to works, ordinances, or doctrines, but to a personal Redeemer, who His own self bare our sins in His own body on the tree. The bleeding, dying, rising Saviour, is the only star of hope to a sinner. Oh for grace to come now and drink, ere the sun sets upon the year's last day!
No waiting or preparation is so much as hinted at. Drinking represents a reception for which no fitness is required. A fool, a thief, a harlot can drink; and so sinfulness of character is no bar to the invitation to believe in Jesus. We want no golden cup, no bejewelled chalice, in which to convey the water to the thirsty; the mouth of poverty is welcome to stoop down and quaff the flowing flood. Blistered, leprous, filthy lips may touch the stream of divine love; they cannot pollute it, but shall themselves be purified. Jesus is the fount of hope. Dear reader, hear the dear Redeemer's loving voice as He cries to each of us,
"IF ANY MAN THIRST,
LET HIM
COME UNTO ME
AND DRINK."
'묵상 > 스펄전의 아침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30일 (일의 끝이 시작보다 낫고) (0) | 2011.04.06 |
---|---|
12월 29일 (에벤에셀) (0) | 2011.04.05 |
12월 28일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 (0) | 2011.04.04 |
12월 27일 (왕골이 새파랗게 싱싱한 이유) (0) | 2011.04.03 |
12월 26일 (마지막 아담) (0) | 201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