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천상의 자리에 앉혀 질 때 하나의 큰 축복이 우리 것이 됩니다. 이 축복은 어떤 것일까요? 그것은 받아들여지는 특권을 말합니다. “그가 사랑하시는 자[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거저 주시는 바(He hath made us accepted in the beloved[Christ], KJV)”(에베소서 1:6). 헬라어로 "받아 들여졌다(accepted)"는 말은 극히 총애를 받았다는 말입니다. 영어의 용법상으로는 “적합하다고 여겨졌다”라는 말로 해석될 수 있지만 그와는 다릅니다. 영어로는 “그럭저럭 견딜 수 있다”는 태도를 암시하면서, 참아줄 만한 어떤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바울이 이 단어를 사용한 것은 그와 전혀 다른 경우입니다. 그가 사용한 “accepted”는 이렇게 번역 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극히 총애하셨다. 우리가 그리스도안에 있는 우리의 자리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분에게 매우 각별하다.”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희생을 받아 들이셨기 때문에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묶인 사람들과 그리스도를 그분은 이제 오직 하나의 공동 인물로 보십니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우리의 육은 죽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었습니까?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우리의 옛 성품을 처리해 버리셨습니다. 그러므로 지금 하나님이 우리를 보실 때, 그분은 오직 그리스도만 보십니다. 이제는 우리가 하나님이 보시는 대로 우리 자신을 보는 법을 배워야 할 차례입니다. 이 말은 우리의 죄와 연약함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쟁취한 승리에 초점을 맞추라는 의미입니다.
탕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그리스도안에 있는 천상의 지위가 주어졌을 때 오는 받아들여짐에 대해 생생한 묘사를 보여줍니다. 아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젊은이가 아버지로부터 자신의 유산을 챙겨 방탕한 생활을 하며 탕진해버렸습니다. 이 아들이 도덕적으로, 정서적으로 또 육체적으로 완전히 파산에 이르렀을 때, 아버지를 생각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아버지의 모든 호의를 잃었다고 확신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분노에 차고 그를 혐오할 것이라고 두려워했습니다.
성경은 이 상한 젊은이가 자신의 죄에 대한 슬픔으로 가득 차 “나는 형편없는 사람이다. 하늘을 거슬러 죄를 지었다,”고 부르짖었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경건한 슬픔을 통해 회개에 이른 사람들을 상징합니다.
탕자는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리라(누가복음 15:18). 그는 가까이 나아갈 수 있는 복을 행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십니까? 탕자는 자신의 죄로부터 돌이켜 세상을 뒤로하고 자신의 아버지가 그에게 약속했던 열린 문으로 나아갔습니다. 그는 회개하며, 또한 나아가는 길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며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탕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까?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누가복음 15:20). 얼마나 아름다운 정경입니까! 죄 많은 아들은 아버지에게 용서받았고 품에 안겼고 사랑을 받았습니다. 아무런 진노나 정죄도 없었습니다. 그의 아버지의 입맞춤을 받았을 때, 그는 자신이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A great blessing becomes ours when we’re made to sit in heavenly places. What is this blessing? It’s the privilege of acceptance: “He hath made us accepted in the beloved [Christ]” (Ephesians 1:6). The Greek word for “accepted” means highly favored. That’s different from the English usage, which can be interpreted to mean “received as adequate.” This signifies something that can be endured, suggesting an attitude of, “I can live with it.” That’s not the case with Paul’s use of the word. His use of “accepted” translates as, “God has highly favored us. We are very special to him because we are in our place in Christ.”
Because God accepted Christ’s sacrifice, he now sees only one corporate man: Christ, and those who are bound to him by faith. Our flesh has died in God’s eyes. How? Jesus did away with our old nature at the Cross. So now, when God looks at us, he sees only Christ. In turn, we need to learn to see ourselves as God does. That means not focusing solely on our sins and weaknesses, but on the victory that Christ won for us at the Cross.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provides a powerful illustration of the acceptance that comes when we’re given a heavenly position in Christ. You know the story: A young man took his inheritance from his father and squandered it on a sinful life. Then, once the son became completely bankrupt—morally, emotionally and physically—he thought of his father. He was convinced he’d lost all favor with him. And he feared that his father was full of wrath and hatred toward him.
The Scripture tells us that this broken young man was full of grief over his sin and cried out, “I’m unworthy. I’ve sinned against heaven.” This represents those who come to repentance through godly sorrow.
The Prodigal told himself, “I will arise and go to my father” (Luke 15:18). He was exercising his blessing of access. Are you getting the picture? The Prodigal had turned from his sin, he’d left the world behind, and he’d accessed the open door his father had promised him. He was walking in repentance and appropriating access.
So, what happened to the Prodigal Son? “When he was yet a great way off, his father saw him, and had compassion, and ran, and fell on his neck, and kissed him” (Luke 15:20). What a beautiful scene. The sinful son was forgiven, embraced and loved by his father, with no wrath or condemnation whatsoever. When he received his father’s kiss, he knew he was accepted.
当 神叫我们坐在属天的地位,我们就大大蒙福。我们究竟蒙受什麽福气?原来,我们就大有荣幸,蒙 神悦纳。「这恩典是衪在爱子里所赐给我们的。」(He hath made us accepted in the beloved Christ.) (弗1:6) 「蒙悦纳」希腊文的意思就是「蒙恩宠」。这与英文的字意不同。英文可解作「被接纳为合格的」(accepted as adequate),这意味著某程度上的容忍,带著「我能忍受的态度」。保罗这里所用的含意并不如此。他所用的「蒙悦纳」该译作「神大大喜悦」我们。因著我们在主里的地位,祂看我们为特殊的子民。
由於 神悦纳了主的牺性,如今祂只看见一个整体的人:基督以及凡凭信心与祂联合的人。在 神眼中,我们的肉体已经死了。怎麽会这样子?主在十字架上已经把我们的旧我除去。如今,当 神看我们的时候,衪只看见基督。因此我们也需要学习以 神的眼光看自己。意思就是,我们不应仅聚焦於自己的罪和软弱上,乃应著眼於主在十字架上为我们所赢得的胜利。
浪子回头的比喻大力地阐明,当我们在主里得著属天的地位时,就蒙 神悦纳。你们都晓得这故事:有一个年青人活在罪中,把父亲给他的产业都花光了。这儿子一旦在道德上,情绪上,并身体上都全然崩溃,就想起自己的父亲。他深信自己已经全然失宠,又怕父亲满怀怒气,怨恨他。
根据圣经,这破碎的年青人因自己的过犯而满心忧伤,喊著说:「我不配不堪,我得罪了天。」他乃代表那些依著 神的心意忧愁而悔改的人。
浪子对自己说:「我要起来,到我父亲那里去。」(路15:18) 他要支取他的福份,回到父亲那里去。你明白吗?浪子转离了罪恶,撇下世界;他要进到父亲应许过总是为他大开的家门。他存著痛悔的心,要抓紧机会回家去。
浪子结果怎麽样?「…相离还远,他父亲看见,就动了慈心,跑去抱著他的颈项,连连与他亲嘴。」(路15:20) 何等美丽的情景。这罪孽深重的儿子得蒙父亲饶恕,拥抱,怜爱,父亲完全没有向他发怒或定罪。当他蒙父亲亲吻时,他就晓得自己已经被接纳了。
'묵상 > 데이빗 윌커슨(David Wilker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의 자비하심(THE LORD’S MERCIES) (0) | 2011.07.15 |
---|---|
예수님은 계획이 있으셨습니다(JESUS HAD A PLAN) (0) | 2011.07.13 |
상세한 지시와 명확한 결정(DETAILED DIRECTIONS AND UNCLOUDED DECISIONS!) (0) | 2011.07.03 |
원수를 용서하고 축복하는 일은 얼마나 중요한가? (0) | 2011.07.03 |
최고의 위험(THE GREATEST DANGER) (0) | 2011.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