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과 함께 있을수록 그 사람은 순수함, 거룩함과 사랑의 면에서 그리스도를 더욱 닮아갑니다. 그 다음에는 그의 순수한 삶이 그의 안에서 하나님을 위해 크나큰 담대함을 조성해 줍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악인은 쫓아오는 자가 없어도 도망하나 의인은 사자 같이 담대하니라”(잠28:1). 이 구절에서 담대하다는 말은 “안전한, 자신있는”의 의미입니다. 회당의 통치자들은 베드로와 요한이 사역할 때 바로 이런 유형의 담대함을 보았습니다(행4:1-2참조).
이전 장에서(행3장) 베드로와 요한은 걸음을 걷지 못하는 거지를 위해 기도하였고 그는 즉시 고침을 받았습니다. 그가 고침을 받은 일은 성전 주위에 큰 소요를 일으켰고 제자들이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것을 저지하기위해 종교 지도자들은 그들을 체포하여 공중 재판에 넘겼습니다.
베드로와 요한은 회당의 지도자들을 만났으나 성경은 사도행전 4장에 나오는 이 장면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가 확신하건대, 이 종교 지도자들은 그 장면이 매우 장엄하고 예식적이 되도록 연출했을 것입니다. 먼저 고위관리들이 엄숙하게 벨벳 의자에 앉았습니다. 그 다음에 대제사장들의 친척들이 뒤따랐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용히 기다리는 가운데 예복을 입은 대제사장들이 점잔빼며 들어옵니다. 이 제사장들이 재판 석을 향해 뻣뻣하게 복도를 걸어 들어와 옆을 지날 때 모두가 절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베드로와 요한을 위협하려는 의도였습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전혀 위협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예수님과 함께 너무 오래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베드로가 이렇게 생각하는 것을 상상해 봅니다. “자, 이제 이 회의를 시작하자. 내게 강단을 넘겨주고 결박을 풀어주기만 하여라. 이 모임을 위해 하나님께 받은 말씀이 있다. 예수님, 이 그리스도를 미워하는 자들에게 당신의 이름을 전파하도록 내게 허락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도행전 4장 8절의 시작은 이렇습니다. “이에 베드로가 성령이 충만하여 이르되...” 이것으로 볼때 그는 강의를 하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조용히 있거나 뒤로 물러나 있으려 하지 않았습니다. 베드로는 성령으로 터질 듯한, 예수님께 사로잡힌 사람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종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정체성이 안전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수님의 의 안에서 담대하게 서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숨길 것이 없고 누구 앞에든지 깨끗한 양심을 가지고 설 수 있습니다.
The more someone is with Jesus, the more that person becomes like Christ, in purity, holiness and love. In turn, his pure walk produces in him a great boldness for God. Scripture says, “The wicked flee when no man pursueth: but the righteous are bold as a lion” (Proverbs 28:1). The word for bold in this verse means “secure, confident.” That’s just the kind of boldness the synagogue rulers saw in Peter and John as they ministered (see Acts 4:1–2).
In the previous chapter (Acts 3), Peter and John prayed for a crippled beggar and he was instantly healed. The healing caused a great stir around the temple, and in an attempt to stop the disciples from sharing their faith in Christ, the religious leaders had them arrested and put on a public trial.
Peter and John met with the synagogue rulers but the Bible doesn’t go into much detail about this scene in Acts 4. Yet I can assure you, the religious leaders orchestrated it to be all pomp and ceremony. First, the dignitaries solemnly took their velvety seats. Then the high priests’ relatives followed. Finally, in a moment of hushed anticipation, the robed high priests strutted in. Everyone bowed as the priests passed by, walking stiffly up the aisle toward the seat of judgment.
All of this was meant to intimidate Peter and John. But the disciples were not intimidated at all. They’d been with Jesus for too long. I imagine Peter thinking, “Come on, let’s get this meeting started. Just give me the pulpit and turn me loose. I’ve got a word from God for this gathering. Thank you, Jesus, for allowing me to preach your name to these Christ-haters.” Acts 4:8 begins with: “Then Peter, filled with the Holy Ghost…” and this tells me he wasn’t going to deliver a lecture. It wasn’t going to be quiet or reserved. Peter was a Jesus-possessed man, bursting with the Holy Ghost.
God’s servants are secure in their identity in Christ. And they stand confident in Jesus’ righteousness. Therefore, they have nothing to hide; they can stand before anyone with a clear conscience.
一個人愈親近主,就會在純淨、聖潔、並愛心上變得愈有基督的樣式。然後,他純淨的生活會在他裡面產生為 神而發的大勇氣。聖經說:「惡人雖無人追趕也逃跑,義人卻膽壯像獅子。」(箴28:1) 這經節裡的膽壯乃是指「安穩,自信」。這就是當彼得約翰傳道時,官長從他們身上所看見的那種勇氣。
據前一章書(徒3)記載,彼得約翰曾經為一名瘸腿的乞丐禱告,他就即時得醫治。這件事使聖殿一帶的人都大為轟動;宗教領袖們為要阻止門徒分享他們對主的信心,便捉拿他們,且安排了一場公開的審訊。
彼得約翰遇見了會堂的官長,但聖經並沒有詳細描述使徒行傳第4章的情景、然而,我可以向你保証,宗教領袖們把所有排場和儀式都策劃好了。首先,達官貴人都莊嚴地豋上他們的絲絨座位。隨著而來的就是大祭司的親屬。最後,在那肅靜,眾所期望的時刻,穿著長袍的大祭司就昂首闊步地進來。當祭司們在走道上硬挺地走向審判座時,眾人都連忙鞠躬。
這一切都是為要威嚇彼得約翰。但門徒一點都不怕。他們跟隨主已經很久了。我想像彼得會這樣想:「快點開庭吧。只要讓我自由發言。我已為這集會從 神得著話語。主啊,你讓我向這些恨惡基督的人傳揚你的名,我為此感謝你。」使徒行傳4:8以這些話作為開始:「那時,彼得被聖靈充滿…」而這告訴我,他並不是要演講。他不會陰聲細氣,拘拘縮縮地發言。彼得被主得著,爆發出聖靈的能力。
神的僕人們都會因他們自己在主裡的身份而安穩。而他們會因主的公義而胸有成竹地站立。所以,他們並沒有什麼需要掩飾的;他們能夠存著清潔的良心站在任何人面前。
'묵상 > 데이빗 윌커슨(David Wilker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기 불가한 약속 (AN IRONCLAD PROMISE) (0) | 2011.03.08 |
---|---|
어떤 위기든지 맞을 준비를 하십시오 (PREPARED FOR ANY CRISIS) (0) | 2011.02.19 |
찍어 내버리라 (CUT THEM OFF) (0) | 2011.02.01 |
이렇게 하지 않는 한 나는 너희에게 말할 수 없다. (0) | 2011.01.31 |
누가 이 생존 계획을 생각해 냈을까요? (0) | 2011.01.27 |